반응형
SMALL

2023/12/05 2

[컴네/CN] 혼잡제어

혼잡 제어 개요 혼잡이란 네트워크가 제어할 수 없는 범위 이상의 소스가 전송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때, 네트워크는 링크, 공유기, 라우터 버퍼 등을 다 포함한다.) 따라서, 혼잡이 발생한 경우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1. long delay: 라우터의 버퍼에 해당 패킷이 오래 머물러 발생하는 딜레이 2. packet loss: 라우터의 버퍼가 가득 찬 경우 overflow가 되어 더 이상 수용하지 못 하면 패깃이 손실된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혼잡 현상을 제어해야 한다. 이때 우리는 flow control과 혼동할 수 있는데, flow control은 수신자에 대한 속도 제한으로, 수신자의 상태만 보고 판단한다. 즉, 네트워크를 고려하는 혼잡 제어와 다른 개념이다. 혼잡의 이유와 비용 아래 시..

[컴네/CN] Socket Programming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운영체제의 프로세스 간 통신을 위한 방식으로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방식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프로세스간 통신이 가능하다. (통신은 프로세스임) 분산으로 각 프로세스가 나뉘어져 있는 경우 별도의 운영체제에서 소켓에 대한 api를 제공한다. 이때,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하기 위한 도구가 소켓이다. 이러한 소켓은 C, C++에서 구조체를 통해 제공하며, bind(), listen(), accept() 함수 등을 이용하여 소켓 통신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다. 운영체제는 C나 C++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전통적으로는 C 계열의 언어를 이용하여 소켓 프로그래밍을 진행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응용 개발 시 순수 소켓을 사용하..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