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2023/12/04 2

[컴네/CN] TCP

TCP 1. TCP는 full duplex data 전송이 가능한 연결이다. 즉,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연결하여 서로 소통이 가능한 양방향 소통으로 동일 연결에서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MSS는 maximum segment size로 데이터 전송 시 사용되는 최대 segment의 크기를 말한다. 이 MSS는 이더넷의 프레임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TCP는 바이트 단위로 전송되지만 이러한 바이트를 모아 segment 단위로 전송한다.) 2. connection-oriented(연결 지향)적이다. TCP는 연결 지향적이고,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3-way handshake 과정을 필요로 한다. 이때, 3번의 메세지 교환이 필요하므로 3-way handshake라고 불린다. 3. flow control..

[컴네/CN] 비동기 프로그래밍

Blocking vs. Non-blocking Blocking 프로세스가 시스템을 호출하고 나서 결과가 반환되기까지 다음 처리로 넘어가지 않는 상태. 즉, block이 된 상태를 말한다. Non-blocking 시스템을 호출한 직후에 프로그램으로 제어가 돌아와 시스템 호출의 종료를 기다리지 않고 다음 처리로 넘어갈 수 있다. I/O(입출력)가 길어지는 경우 블로킹이면 대기시간이 길어지기 떄문에 논블로킹 사용한다. 좌측 코드는 서버, 우측 코드는 클라이언트의 코드이다. 서버 코드에서는 소켓을 바인딩하고, while문을 통해 accept(연결)를 기다린 후 데이터를 수신한다. 클라이언트 코드에서는 ip 주소와 포트번호를 설정하여 연결을 생성하고 "HelloWorld\n"라는 문자열을 300 * 1024 * ..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