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CN 4

[컴네/CN] IP Address

인터넷 주소 인터넷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의 주소이다. 장치의 주소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ip 주소와 mac 주소가 그것이다. ip address ip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개체(컴퓨터 또는 네트워크 카드)의 식별자(주소)이다. 즉, 논리적인 주소로 네트워크에 따라 변동된다는 특징이 있으며, ISP/공유기에서 할당한다. mac address mac 주소는 디바이스 고유의 식별자로 hardware에 존재하는 physical 주소이다. 즉, 물리적인 주소로 네트워크 카드를 만드는 제조사에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부여한다. 물리적 주소와 논리적 주솔흘 쉽게 이해하기 위해 예를 들어 보자면, 우리가 택배를 보낼 때 사용하는 도로명주소가 논리적 주소의 예이고, 위치를 지구상의 위도와 경도로 표..

[컴네/CN] 프로토콜 및 소켓

TCP/IP 프로토콜 계층 왼쪽이 TCP/IP, 오른쪽이 osi 프로토콜 계층이다. TCP/IP의 application 계층이 osi에서는 application, presentation, session의 세 계층으로 나뉜다. application 계층은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며 대부분의 일은 이 계층에서 발생한다. 그 아래의 계층은 운영체제와 가까우며 쉽게 바뀌지는 않지만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부분이다. 계층별 식별자 데이터를 전송하면 각 계층 별로 식별자가 존재한다. Application 계층에서는 웹&email&http&P2P를 식별하고, Transport 계층에서는 port number를 통해 식별하고, Network 계층에서는 ip address를 통해 식별한다. ip는 각 인터페이스에게 각각..

[컴네/CN] HTTP와 Cookie

⭐️Review⭐️ HTTP/1.1 위 사진은 HTTP/1.1의 헤더의 모습이며, TCP 연결 재사용을 위해 헤더에서는 Keep-Alive 필드로 표시한다. Keep-Alive 필드는 timeout이라는 최소 시간 동안 max 시간까지 TCP 연결을 유지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HTTP/1.1은 한 개의 TCP 연결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TCP 연결을 사용하는데 TCP 연결이 너무 많이 생성되면 자원 관리 차원에서 문제가 발생하므로 성능 관리를 위해 브라우저에서는 도메인 당 최대 연결 수를 제한한다. HTTP/1.1 domain sharding HTTP/1.1은 pipelining을 사용하기 때문에 HoL 병목 현상이 발생한다.(이전 포스트 참고) 따라서 해당 pipelining은 많이..

[컴네/CN] HTTP 버전

HTTP 발전 현재는 HTTP/1.1 이상의 버전만 사용한다. HTTP/1.0 HTTP GET 메소드에 대해 1개의 TCP 연결을 사용한다. 즉, 객체 1개 전송할 때 1개의 TCP 연결을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객체 하나를 전송할 때에 새로운 TCP socket를 생성하고 새롭게 연결을 수행해야 하므로 생성과 연결에 지연 시간이 발생한다. 즉, 왕복지연시간문제(non-persistent HTTP)가 발생한다. 우리는 이러한 왕복지연시간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HTTP/1.1을 만들었다. 이때, 우리는 왜 왕복지연시간을 줄여야 할까? 아래 표는 지연 시간에 따른 사용자 체감을 나타낸 표이다. 밀리초(1/1000초)라는 아주 작은 시간 동안에도 사용자는 체감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지연 시간을..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