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Network Address Translator)
공유기는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를 서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Network Address Translator(NAT)가 이용하는 사설 IP 주소는 아래와 같다.
위 사진은 NAT를 통해 사설 IP와 공인 IP를 변환해주는 모습이다.
주소 번역 예
사설 IP 주소 + 포트 번호 변경 (사설 -> 공유기)
위 그림에서도 NAT를 통해 사설 IP가 공인 IP로 변환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때 IP 뿐만 아니라 포트번호도 함께 변화하고 있다.
사설 IP 주소 + 포트 번호 변경 (외부 -> 공유기)
위 그림에서도 마찬가지로 NAT를 통해 공인 IP가 사설 IP로 변환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포트 변호도 함께 변환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내부 -> 공유기의 변환을 반대로 실행한 것과 동일하다.
addr-port mapping table 생성과 삭제
컴퓨터 -> 공유기 -> 외부 인터넷
- 생성: TCP/UDP 최초 패킷 송신 후
- 삭제: 타이머/TCP 연결 종료 메세지 수신 후
외부 인터넷 -> 공유기 -> 컴퓨터
- 생성: 내부에서 트래픽 생성 또는 수동으로
- 삭제: 타이머/TCP 연결 종료 메시지 수신 후/수동으로
포트포워딩
공유기 내부의 서버에 접근하기 위한 TCP 포트를 개방할 수 있음.
NAT는 IP 공유기, 스마트폰 데터링, 도커, virtualbox, 이동통신망, 클라우드에 사용된다.
공유기
• 패킷교환망, TCP/IP
DNS Server (Layer 7)
네트워크 계층 장비 (Layer 3)
- IP Router + 주소번역기 + DHCP
- Public <-> Private IP addr
링크 계층 장비 (Layer 2)
- Bridge
- 이더넷 스위치
- Ethernet: IEEE 802.3
- WiFi: IEEE 802.11
• 물리 계층 기능 (Layer 1)
'Computer Science > 컴퓨터네트워크(Com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네/CN] IP Routing: RIP, OSPF (2) | 2023.12.07 |
---|---|
[컴네/CN] IP Routing (1) | 2023.12.07 |
[컴네/CN] 인터넷 잡학 (1) | 2023.12.06 |
[컴네/CN] 네트워크 레이어의 라우터 큐 (1) | 2023.12.06 |
[컴네/CN] Network계층의 IP (1) | 2023.12.06 |